(4) 胸脇苦滿
<胸脇苦滿>
心下部에서 季肋部(脇部)까지 환자 자신이 충만감을 느낄 뿐 아니라 타각적으로 이 부위에 팽만과 저항을 나타낸다. 환자는 ‘가득 찬 것 같은 느낌’, ‘무겁고 답답한 느낌’, ‘숨이 막힐 듯한 감의 고통’을 호소한다.
胸脇苦滿은 대개 左右에 함께 나타나지만 좌측 또는 우측 한쪽에만 나타나는 수도 있다. 대체로 우측에 나타날 때가 많고 그 정도로 우측이 심한 경우가 많다. 간장이나 비장이 비대했을 때도 胸脇苦滿이라고 보아도 좋으나 간암의 경우는 다르다. 또한 경락적으로는 肝經, 膽經의 이상으로 인정된다.
○ 진찰방법
<胸脇苦滿 진찰방법>
胸脇苦滿을 진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肋骨弓의 하연에서 손가락을 上內方으로 눌러 올리는 것 같이 삽입한다.
○ 치료
胸脇苦滿을 제거하는 데는 柴胡를 주약으로 한 처방을 쓴다. 大柴胡湯, 小柴胡湯, 柴胡加龍骨牡蠣湯, 四逆散, 柴胡桂枝湯, 柴胡桂枝乾薑湯 등.
① 胸脇苦滿이 강하고 체격도 튼튼하고 便秘 경향이 있으면 大柴胡湯을 사용한다.
<大柴胡湯 腹證>
② 大柴胡湯 腹證으로서 배꼽 위에서 動悸의 亢進이 있을 때 柴胡加龍骨牡蠣湯을 사용한다.
<柴胡加龍骨牡蠣湯 腹證>
③ 胸脇苦滿이 가볍고, 체격도 그리 튼튼하지 않고 便秘의 경향이 없을 때 小柴胡湯을 사용한다.
<小柴胡湯 腹證>
④ 大柴胡湯과 小柴胡湯과의 移行型에 四逆散을 사용한다.
<四逆散 腹證>
⑤ 小柴胡湯證과 비슷한 경우에 腹直筋이 막대(棒)처럼 皮下에 닿는 것에 柴胡桂枝湯을 사용한다.
⑥ 胸脇苦滿의 정도가 극히 가볍고 체력도 약하고 여위고, 빈혈이 있고, 動悸 또는 숨이 차고, 배꼽 위에서부터 명치에 걸쳐서 動悸가 있는 경우에 柴胡桂枝乾薑湯을 사용한다.
<柴胡桂枝湯 腹證>
<柴胡桂枝乾薑湯 腹證>
○ 참고
胸脇苦滿과 아울러 다음과 같은 腹證이 있다.
- 脇下?硬
- 脇下硬滿
- 협하부가 단단하게 뻗쳐 있는 것(딱딱하게 팽만된 증상)을 말한다.
脇下?硬과 脇下硬滿은 心下?滿과 胸脇苦滿을 공유할 때가 많다. 결과적으로 脇下?硬, 硬滿이란 양쪽 옆구리 밑이 막혀서 딴딴하고 답답한 것을 말하며 여기에 疼痛이 수반될 때를 脇下滿痛이라 한다.
'한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갑상선기능저하증(甲狀腺機能低下症)의 韓方 治療 (0) | 2019.02.16 |
---|---|
[스크랩] 갑상선 기능저하증(甲狀腺機能低下症)은 한의학적 관점및 치료(治療) (0) | 2019.02.16 |
[스크랩] 辨 證 (0) | 2018.12.23 |
[스크랩] 사암침법으로 푼 경락의 신비 (0) | 2018.12.04 |
[스크랩] 五運과 六十甲子 (0) | 2018.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