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만세력 보는법.
사주(四柱)의 뜻을 풀이하면 네 기둥이란 말로 년주(年柱), 월주(月柱),
일주(日柱), 시주(時柱)를 말하며 각 기둥이 두 글자씩을 만들어 모두
여덟글자가 나오는데 이것을 사주팔자(四柱八字)라 한다.
여기에 생년월일시의 간지를 정하는 법을 설명하겠으나 이러한 원리로
정한다는 것만 알고 만세력(萬歲曆)이라는 책을 이용하여 사주기둥을
세우기 바란다.
(1) 년주(年柱)를 정하는 법
년주(年柱)를 세우는 법을 간단하게 설명해 보기로 하자.
2000년에 태어났다고 하면 2000년은 경진년(庚辰年)이 되고 경진이
년주가 되는 것이다.
2001년에 태어났다면 2001년은 신사년(辛巳年)이 되고 신사가 년주가 되는 것이다.
1년을 경계짓는 기준은 입춘일(立春日)로 정하며 입춘을 기준으로
입춘 전에 출생하면 해당 년도에 출생하였어도 전년도의 년주를 사용한다.
2001년 신사(辛巳)년의 입춘 접입일이 양력2월 4일 03시 26분이므로
접입일 이전인 2월3일에 태어났다면 전년도 년주인 2000년 경진(庚辰)년을
사용하고 접입일 이후에 태어났다면 2001년 신사(辛巳)년의 년주를 사용한다.
(2) 월주(月柱)를 정하는 법
출생한 달의 간지를 가리켜 월주 또는 월건(月建)이라고 한다.
월주는 계절을 의미하며 사주팔자 중에서 가장 힘있고 중요한 오행이며
이를 기준으로 격(格)을 잡는다.
1년의 기준을 입춘으로 정하듯이 월의 기준은 절기를 기준으로 정한다.
월지는 매년 같은 월지를 사용하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월지(月支) 정하는 법 *
1월 --- 寅 월, 2월 --- 卯 월
3월 --- 辰 월, 4월 --- 巳 월
5월 --- 午 월, 6월 --- 未 월
7월 --- 申 월, 8월 --- 酉 월
9월 --- 戌 월, 10월 --- 亥 월
11월 --- 子 월, 12월 --- 丑 월
* 월간(월간)을 붙이는 법 *
乙 庚 年 ----- 戊
丙 辛 年 ----- 庚
丁 壬 年 ----- 壬
戊 癸 年 ----- 甲
천간이 戊, 癸년의 정월(1월)은 甲寅 월이고 2월은 乙卯월이고
3월은 丙辰월이 된다.
월의 구분은 12절기로 나누는데 접입일에 의하여 구분되어진다.
예를 들어 辰월생인데 접입일인 청명(淸明)보다
생일이 빠르면 전달인 卯월의 월주를 쓰고 辰월생 이라도 巳월의
접입일인 입하(立夏)를 지났다면 巳월의 월주를 쓴다.
* 절기 및 기간 *
1월(寅) - 입춘-(양력 2월 4일경 - 3월 5일경)
2월(卯) - 경칩-(양력 3월 5일경 - 4월 5일경)
3월(辰) - 청명-(양력 4월 5일경 - 5월 5일경)
4월(巳) - 입하-(양력 5월 5일경 - 6월 6일경)
5월(午) - 망종-(양력 6월 6일경 - 7월 7일경)
6월(未) - 소서-(양력 7월 7일경 - 8월 7일경)
7월(申) - 입추-(양력 8월 7일경 - 9월 8일경)
8월(유) - 백로-(양력 9월 8일경 - 10월 8일경)
9월(술) - 한로-(양력 10월 8일경 - 11월 7일경)
10월(해) - 입동-(양력 11월 7일경 - 12월 7일경)
11월(자) - 대설-(양력 12월 7일경 - 1월 5일경)
12월(축) - 소한-(양력 1월5일경 - 2월 4일경)
2000년 음력 6월 4일생이라면 2000년 년주는 庚辰을 쓰고 6월의 절기인
소서(小暑)가 6월 7일날 들었으므로 전월의 월건(月建)인 壬午를 월주로 쓴다.
한 달의 시작은 절기를 기준으로 접입일로 구분한다.
* 월간지 조견표 *
월 | 접입일/년 | 甲. 己년 | 乙. 庚년 | 丙. 辛년 | 丁. 壬년 | 戊. 癸년 |
1 월 | 입 춘 | 丙 寅 | 戊 寅 | 庚 寅 | 壬 寅 | 甲 寅 |
2 월 | 경 칩 | 丁 卯 | 己 卯 | 辛 卯 | 癸 卯 | 乙 卯 |
3 월 | 청 명 | 戊 辰 | 庚 辰 | 壬 辰 | 甲 辰 | 丙 辰 |
4 월 | 입 하 | 己 巳 | 辛 巳 | 癸 巳 | 乙 巳 | 丁 巳 |
5 월 | 망 종 | 庚 午 | 壬 午 | 甲 午 | 丙 午 | 戊 午 |
6 월 | 소 서 | 辛 未 | 癸 未 | 乙 未 | 丁 未 | 己 未 |
7 월 | 입 추 | 壬 申 | 甲 申 | 丙 申 | 戊 申 | 庚 申 |
8 월 | 백 로 | 癸 酉 | 乙 酉 | 丁 酉 | 己 酉 | 辛 酉 |
9 월 | 한 로 | 甲 戌 | 丙 戌 | 戊 戌 | 庚 戌 | 壬 戌 |
10월 | 입 동 | 乙 亥 | 丁 亥 | 己 亥 | 辛 亥 | 癸 亥 |
11월 | 대 설 | 丙 子 | 戊 子 | 庚 子 | 壬 子 | 甲 子 |
12월 | 소 한 | 丁 丑 | 己 丑 | 辛 丑 | 癸 丑 | 乙 丑 |
예) 2000년 음력 6월 3일 낮 12시 생
2000년 년주는 庚辰을 쓰고 6월 3일생 이라도 6월의 절기 소서(小暑)인
6월 6일이 지나지 않아서 전월의 월주인 壬午를 월주로 사용한다.
(명식) 戊 癸 壬 庚
午 亥 午 辰
(3) 일주(日柱)를 정하는 법
일주는 태어난 날을 말하며 일주는 사주의 주인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하겠다.
일주는 태어난 날의 일진을 쓰는데 하루를 나누는 기준은 자시(子時)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자시는 야(夜) 자시와 조(朝) 자시로 나눈다.
야 자시는 그 날의 일진을 그대로 사용하고 조 자시는 다음날 일진을 사용한다.
다시 말하면 전날 야 자시와 당일 조 자시는 시(時)는 같지만
날짜가 달라지고 당일의 조 자시와 야 자시는 날짜는 같고
시(時)의 간(干)만 달라진다.
(예1) 서기 2000년 (음력) 3월 3일 밤 11시 40분
年주는 庚辰을 그대로 쓰고 月주는 3월의 절기인 청명이 지났으므로
庚辰을 쓰며 日주는 3일이 乙未일이므로 그대로 사용하고 時주는
야 자시이므로 다음날 시두(時頭)를 사용하여 戊子시가 된다.
(명식) 時柱 日柱 月柱 年柱
戊 乙 庚 庚
子 未 辰 辰
(예2) 서기 2000년 (음력) 3월 3일 밤 12시 40분
年주는 庚辰을 쓰고 月주는 3월의 庚辰을 쓰며 일진은 乙未일 子時이지만
금일 朝자시, 夜자시가 나누어지므로 다음날 朝자시가 되어
일진이 丙申일 朝자시 戊子시가 되었다.
(명식) 戊 丙 庚 庚
子 申 辰 辰
(4) 시주(時柱)를 정하는 법
시주는 태어난 시(時)의 간지를 말하고 시지는 월지(月支)처럼 정해져 있다.
시간(時干)을 붙이는 방법으로 시두법(時頭法)이 있다.
* 시두법(時頭法) *
甲 . 己 日 ----- 甲 時
乙 . 庚 日 ----- 丙 時
丙 . 辛 日 ----- 戊 時
丁 . 壬 日 ----- 庚 時
戊 . 癸 日 ----- 壬 時
* 시지(時支)표 *
朝子時는 밤 12시 30분 - 새벽 1시 30분까지
丑時는 오전 1시 30분 - 오전 3시 30분까지
寅時는 오전 3시 30분 - 오전 5시 30분까지
卯時는 오전 5시 30분 - 오전 7시 30분까지
辰時는 오전 7시 30분 - 오전 9시 30분까지
巳時는 오전 9시 30분 - 오전 11시30분까지
午時는 오전 11시 30분 - 오후 1시 30분까지
未時는 오후 1시 30분 - 오후 3시 30분까지
申時는 오후 3시 30분 - 오후 5시 30분까지
酉時는 오후 5시 30분 - 오후 7시 30분까지
戌時는 오후 7시 30분 - 오후 9시 30분까지
亥時는 오후 9시 30분 - 오후 11시30분까지
夜子時 오후 11시 30분 - 오후 12시30분까지
* 시간지 조견표 *
시간 / 일간 | 甲 . 己 일 | 乙 . 庚 일 | 丙 . 辛 일 | 丁 . 壬 일 | 戊 . 癸 일 |
子 시 | 甲 子 | 丙 子 | 戊 子 | 庚 子 | 壬 子 |
丑 시 | 乙 丑 | 丁 丑 | 己 丑 | 辛 丑 | 癸 丑 |
寅 시 | 丙 寅 | 戊 寅 | 庚 寅 | 壬 寅 | 甲 寅 |
卯 시 | 丁 卯 | 己 卯 | 辛 卯 | 癸 卯 | 乙 卯 |
辰 시 | 戊 辰 | 庚 辰 | 壬 辰 | 甲 辰 | 丙 辰 |
巳 시 | 己 巳 | 辛 巳 | 癸 巳 | 乙 巳 | 丁 巳 |
午 시 | 庚 午 | 壬 午 | 甲 午 | 丙 午 | 戊 午 |
未 시 | 辛 未 | 癸 未 | 乙 未 | 丁 未 | 己 未 |
申 시 | 壬 申 | 甲 申 | 丙 申 | 戊 申 | 庚 申 |
酉 시 | 癸 酉 | 乙 酉 | 丁 酉 | 己 酉 | 辛 酉 |
戌 시 | 甲 戌 | 丙 戌 | 戊 戌 | 庚 戌 | 壬 戌 |
亥 시 | 乙 亥 | 丁 亥 | 己 亥 | 辛 亥 | 癸 亥 |
이렇게 많은 법칙과 어려운 과정을 거쳐서 사주명조를 뽑는데 이 모든 것을
외우고 습득하여야할 필요는 없고 원리만 이해하고 만세력 책이나 CD 또는
무료만세력 프로그램을 이용하는게 좋을 것이다.
서해[西海]
출처 : 대한역술인협회
'기지개 펴고 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습땀 배출 경맥테라피(20160911) (0) | 2017.08.02 |
---|---|
[스크랩] 혈자리 위치와 효능 (0) | 2017.07.30 |
[스크랩] 습땀 배출 경맥테라피(20160911) (0) | 2017.07.13 |
[스크랩] 경락 - 주름예방(개선)에 좋은 혈자리, 목의 피로를 풀어주는 경혈점! (0) | 2017.04.12 |
[스크랩] 사랑의 향! 일랑일랑~~ (0) | 201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