八綱- 음양, 표리, 한열, 허실
제2절 변증
사진을 통하여 발병의 원인, 부위, 병리변화 및 변천 등의 상황을 통합적으로 파악 증후가 어디에 있는지를 변별하는 것이다.
*證- 각종 증상과 체증을 포괄한 의미. 질병발전 단계에서 어는 한 단계의 임상표현, 병인병기, 病性, 病位, 인체의 상태 등을 전체적으로 포괄하는 것이다.
*症- 증상과 體症을 말하며 질병의 개별적 표면현상
1. 팔강변증 *질병의 유형- 음증, 양증 *병위의 깊고 얕음- 표증, 이증 *질병의 성질- 한증, 열증 *사기와 정기의 성쇠- 허증, 실증
1) 음양-질병의 유형
음증
|
裏證, 寒證, 虛證 *정신혼미, 안색침울, 암담신체한랭, 눕기 통처 만지기 좋아함,말하고 움직이기 싫어함, 낮고 미약한 음성,대변 묽고, 소변 맑고 많다.
白苔, 윤활, 沈遲脈, 細澁脈
|
양증
|
表證, 熱證, 實證 *정신흥분, 붉은 안색
신체 따뜻함, 거친 호흡, 말 많고 음성큼.움직이고 찬 것 좋아한다. 마르고 굳은 대변 小便 붉고 적다. 黃苔, 건조, 洪數有力脈
|
2) *음양의 편성, 편쇠를 반영
한증
|
*한사침습(外), 양기부족(內)으로 陰盛 陽虛
*안색 희고, 사지냉증, 가래콧물 맑고 많다.소변은 맑고, 대변은 묽고, 白苔, 沈遲脈
|
열증
|
*열사침습, 陽盛 陰虛→기능항진(陽亢)
*한사, 칠정자극, 음식부절제, 과다방사로 체력소모, 음액 정액손상→음허양항
*발열, 惡熱, 구갈, 찬음식 好, 안색 붉고
불안, 누런 가래콧물, 黃苔, 토혈, 붉은소변 변비, 數脈
|
3) 허실-사기와 정기의 성쇠 판단
*虛- 정기부족→補法 *實- 邪氣 盛→瀉法
허증
|
*안색창백, 핏기없음, 정신혼미, 피곤, 힘없음,가슴이 뛰고, 짧은 호흡, 몸, 사지 한냉 오심번열, 자한, 도한, 묽은 대변, 소변을 못 참는다. 虛脈, 적거나
無苔
|
실증
|
*열, 복부 창통 누르면 싫다. 가슴답답 번조 정신혼미, 거친 호흡, 담, 변비, 설사 소변불리, 實有力脈, 厚苔
|
4) 표리-질병의 深淺, 표피와 장부
*表- 표피, 腑, 경락, 삼양경, 외감병사, 輕病
*裏- 장부, 臟, 장부, 삼음경, 내상병, 重病
*병이 표→리 : 심해지는 것, 리→표 : 가벼워지는 것
표증
|
*외감병의 초기, 급하고 병증 시일이 짧다.
惡風 惡寒 (衛氣울체), 전신동통, 부맥(아직表)
|
이증
|
*체내 장부, 기혈, 골수에 침범
*치료부실로 장부침범, 외사가 직접 장부 침습 칠정이 장부 손상
|
2. 장부변증
*내상병의 證 분류에 응용
1) 心病 변증
*心은 神 간직, 혈맥주관, 舌에 공규
*주로 혈맥과 정신방면에 병변
*심장을 둘러싼 심포락의 중후가 대부분
심실증
|
안색, 혓바닥 붓고, 구갈, 토혈, 육혈
가슴자통, 소변 붉거나 혈뇨, 가슴번조 답답 밝은 것 싫고, 눈 충혈, 웃음 헛소리
|
심허증
|
덜 붉지만 붉은 빛, 안색불안, 심계, 급호흡 失眠, 多夢, 정신적 불안, 우수, 건망, 기억력 감퇴, 도한, 遺精,
세약맥
|
2) 小腸病 변증
*소화흡수, 대소변 분리, 소화, 흡수불량, 대변에 병변
허한증
|
소변 맑다, 횟수빈번, 배 부글부글, 설사보면 시원, 적백의 곱똥, 변비로 창만, 누르면 좋아한다. 세약맥, 薄白苔
|
실열증
|
배뇨통, 붉고 찔끔거림, 가슴번조, 잦은 혓바늘, 심한鬱滯는 장옹, 赤白이질, 아랫배 허리 고환이 당기면서 아프고 배뇨하면 좀 나진다
|
3) 폐병변증
*폐기주관, 호흡, 수액대사, 코 개규, 피모와 상합
선발 숙강작용, 호흡, 기 관련 병변
폐한증
|
*찬음식, 한사→선발숙강 실조→수분대사 실조→氣喘(기천), 객담, 흉협부, 심하부가 괴롭다.
*입 마르지 않고, 혀는 희고 매끄럽다.
가래는 묽고 흰색, 부긴맥, 지완맥
|
폐열증
|
*진액부족, 燥邪, 燥熱, 간담울화, 비위열 신수허손 등 장부 간에 열증 발생
*面赤, 관홍, 구갈, 黃燥厚苔, 목구멍 동통
*코피, 코끝 붉어짐, 기침, 가래가 끈끈, 피
|
폐허증
|
*폐기허-안색 희고, 비늘피부, 모발탈락 냉, 감기 잘 걸림, 약한 호흡, 허약, 연약 낮은 언성, 自汗, 목구멍 건조, 오랜 咳嗽(해수), 잦은 소변, 설담백, 허세맥
*폐음허- 조열, 관홍, 도한, 모발탈락, 몸이 마르고, 거친 호흡, 목구멍 아프다. 구갈 잦은 소변, 흉부압박감, 가래가 피 섞이고 배출 안된다. 설홍, 세삭맥, 부삭맥
|
폐실증
|
*한실증-풍한사기→승강을 막아→호흡장애→수습쌓인다→천식발작, 거친 호흡, 가슴답답 어깨 등이 당김. 구역, 浮大脈
*열실증-폐기울, 혈울이 지속→심한 기침 상기, 數實脈, 乾嘔逆, 비린내나는 가래 악취 濃淡, 흉협부 답답, 동통, 正不臥
|
4) 대장병 변증
대장한증
|
*수족냉, 沈遲脈, 복통, 腹鳴, 설사, 설담백 오리똥 같은 묽은 변, 맑은 소변, 白滑苔
|
대장열증
|
*구갈, 입술건조, 배 그득, 배꼽둘레 통증 변비, 심한 냄새 설사, 항문 붓는다.腸毒, 치루, 혈변, 黃燥苔, 삭맥, 활맥
|
대장허증
|
*탈항, 분만시 직장하수, 수족싸늘, 세약맥 氣下陷→배 당긴다. 無力, 설사로 탈수,허탈
|
대장실증
|
*熱邪대장침범, 농혈, 이질, 대변 후 묵직함. 아픈 배를 못만진다. 煩渴(번갈), 譫語(섬어)黃燥苔, 끈끈하다. 濡數脈(유삭맥), 滑數脈(활삭맥)
|
5) 비병 변증
비한증
|
*陽虛陰盛, 잦은 복통, 소화불량, 소화 않된 설사, 물 설사, 소변불통, 부종, 검고 누런 피부, 수족싸늘, 무겁다.
厚白苔(후백태), 沈遲脈(침지맥)
|
비열증
|
*濕熱吸蒸(습열흡증), 입술 붉고, 황달피부, 간헐적 복통, 붉고 소량의 소변, 熱痢(열리), 무겁고 답답
입은 粘濁(점탁), 갈증, 黃苔, 數脈
|
비허증
|
*입술건조, 구역질, 소화불량, 식욕부족 누르면 좋아한다. 야위고 안색 누렇다.붓고 수족냉, 묽은 대변, 淡膩舌(담이설), 虛緩脈(허완맥) 권태롭고 누우려 한다.
|
비실증
|
*습사울체, 무겁고, 가슴명치밑 답답, 윗배통증, 누르는 것 싫다. 구역, 대소변 不利 黃苔, 沈滑脈(침활맥)
|
6) 위병 변증
위한증
|
양기허 陰盛, 계속 복통, 맑은 침, 가래 끓는다. 구토 딸꾹질, 수족복부 냉, 만지거나 따뜻하면 좋다. 白膩苔, 우측 관맥 침지맥
|
위열증
|
열사, 위내진액소모, 입술 붉고 구갈, 물 항상 배고프고 가슴이 달아오르고 타는 듯 위열구토, 위열이 대장에 영향 변비 입안 악취, 잇몸출혈 붓고 아프다. 紅舌 혀 진액부족, 활삭맥
|
위허증
|
위기허→연동실조→식욕부진→명치下 답답 트림, 설사, 소화 안되는 대변, 입술혀 백색 음식이 목에 막혀 안 내리는 듯, 弱脈(약맥)
|
위실증
|
외감병, 육경병 중 양명병, 위 부위 더부룩 만지면 싫다. 배꼽둘레 아프고 딱딱, 짧고 급한 호흡, 구갈, 진땀, 냄새나는 트림, 설사 黃厚苔, 沈實脈
|
7) 간병 변증
*혈액저장, 소설담당, 근육주관, 눈 개규, 혈허, 출혈성근맥경련, 眼病, 간기울결의 정서병변
간한증
|
간이 찬 것-下焦, 근맥수축, 기혈응체, 고환 당겨지는 통증. 아랫배 통증, 월경불순 맑은침 토하거나 구토증, 黑苔위에 白苔 沈弦脈, 遲脈
|
간열증
|
肝木旺盛 火생산, 흉협부 통증, 현훈, 易怒 熱極生風, 붉은 눈, 胸번열, 수족경련 튀틀림 생식기부위 통증, 탁한 소변, 혈뇨, 弦數脈
|
간허증
|
간혈부족, 腎水부족→간목자양실조
눈 침침, 손톱 건조 핏기無, 조잡, 근육경련 수족마비, 혀 축축, 부드럽다. 弦細弱脈
|
간실증
|
간기↑→기혈울결→흉협창만, 통증, 아랫배 당김. 기침, 신트림, 수족 뻣뻣, 토혈, 각혈 혀 자주색, 黃粘苔,
弦脈 有力(현맥유력)
|
8) 담병 변증
담한증
|
맑은 양기가 한사로 억제, 현훈 구토, 불면, 가슴, 위에 煩悶(번민), 白粘苔(백점태), 遲脈(지맥)
|
담열증
|
입쓰다. 易怒, 현훈, 쓴물 토하기, 한열교차, 이명, 습열끼면 황달 흉협통, 黃粘苔, 弦數脈
|
담허증
|
혈허로 간병 담병 同時 現, 현훈, 驚氣, 不眠 한숨, 시력감퇴, 淡紅苔,
현세맥
|
담실증
|
膽實→화 잘낸다. 흉협통, 胸悶(흉민)
側臥不能 안색은 深紫色, 眞紅色, 피부건조 舌紅, 鮮紅色, 黃苔, 弦實脈
|
9) 신병 변증
*선천의 정, 骨주관, 隨생성, 수액납기 주관, 이음에 규생장, 발육지연, 생식기능감퇴, 소변이상, 부종, 뼈 약해짐. 허리시리고, 遺精, 발기불능, 불임, 현훈, 건망, 이명, 耳聾, 허증만 있다.
신음허
|
신음허-현훈, 이명, 이롱, 시력감퇴, 건망증, 불면증, 요슬산통, 여윔, 인후건조, 도한, 탁하고 진한 소변. 遺精, 經閉, 經小, 舌紅 세삭맥
|
신양허
|
신양허-面 윤기없고, 몸사지 냉, 五更설사 정신이 피곤, 발기불능, 조루, 滑精, 요탁 不姙, 무른 대변, 잦고 양은 적고 참기 어려운 소변, 담백태,
침세맥
|
10) 방광병 변증
실열증
|
소변불리, 小量자주, 배뇨통, 濁황적색, 뚝뚝 떨어진다. 소변불통, 하복부통증, 황태, 삭맥
|
허한증
|
자주 소변, 힘이 약하다. 요변 후 시원치 못함. 白苔, 침세맥
|
| |